728x90
반응형

참고자료 34

주가 상승률이 가파른 ETF

저는 기본적으로 배당금을 주는 기업이나 ETF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래야 원활한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고 그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생활비에 조금 보태거나 아니면 재투자를 한다던지 선택의 폭이 넓어지니까요. 하지만 최근에는 생각이 조금 바뀐게 배당주는 기본적으로 주가의 상승률이 조금 저조합니다.(물론 안 오른다는 건 아니고 기술주나 성장주에 비해 그렇다는 뜻 입니다.) 성장주에 투자해서 그 투자한 주식이 주가가 많이 오르면 "일부를 팔아서 수익실현을 해도 좋겠다." 는 식으로 생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생각이 바뀌었을 뿐 제 투자스타일이 이렇게 완전히 바뀐건 아닙니다 ㅎㅎ 그런 제가 선택한 ETF가 바로 QQQ 입니다. ㅎㅎ혁신 기업들이 모여있다. 요즘 세상에 혁신을 가져오는 기업들이라면 사..

참고자료 2024.09.22

스타벅스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

얼마 전 스타벅스 주식이 하루만에 20% 가량 상승한 일이 있었습니다. 왜 그랬을 까요?  바로 스타벅스의 CEO가 렉스먼 내러시먼에서 브라이언 니콜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브라이언 니콜은 타코벨에서도 CEO를 맡았었고 스타벅스로 넘어오기 전에는 치폴레 맥시칸 그릴에서 CEO로 맡았었습니다. 브라이언 니콜은 타코벨과 치폴레 멕시칸 그릴에서도 CEO로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타코벨은 소고기 함유가 35% 밖에 안 되서 미국기준으로는 소고기라고 할 수 없다는 말이 있었는데 재미난 마케팅으로 극복하고 타코벨을 명예회복을 시킵니다. 치폴레 멕시칸 그릴은 매년 위생에 대해서 문제가 발생하는 레스토랑이었는데 브라이언 니콜이 전면적으로 모두 뜯어고쳐 다시 일으켜 세우며 치폴레 멕시칸 그릴의 주가를 꾸준히 우상향 시킨 ..

참고자료 2024.09.21

넷플릭스 주가 폭락했다가 폭등했다.

22년에 넷플릭스 주가가 아주크게 폭락 했었습니다.  거의 전고점 대비 4분의 1토막 수준으로 빠졌다가 그 이후로 줄곧 우상향을 했습니다. 비슷한 차트모양으로는 메타 플랫폼이 그랬었는데 메타도 주가가 크게 무너질 때 주주환원을 위해 자사주매입소각을 크게 해서 다시 주가를 부양했었죠 심지어 메타는 전고점을 뚫고 올라갔네요 ㅋㅋ 잠깐 이야기가 옆길로 샛군요. 다시 돌아와서 넷플릭스 이야기를 하겠습니다.넷플릭스도 제가 좋아하는 비즈니스 모델인 구독서비스로 돈을 버는 기업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OTT서비스를 하는 기업이 넷플릭스죠. 23년 기준 ROE 약 26%에 부채비율은 약 71% 입니다. 재무상태는 그다지 별로 좋아보이지 않네요... 특히 부채비율이 ㄷㄷ;; 통상적으로는 부채비율이 100% 이하..

참고자료 2024.09.20

마이크로소프트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

AI혁신으로 주식시장을 뜨겁게 달군 주인공 마이크로소프트 입니다. 이전에 스티브 발머라는 CEO는 기존에 하던 일은 잘 하는 사람이었지만 세상이 변화하는 흐름을 캐치하지 못 하고 마이크로소프트는 무너져가는 공룡이라며 조롱을 받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 마이크로소프트의 다음 CEO가 된게 사티아 나델라라는 인도계미국인 입니다.  스티브 발머가 CEO를 맡을 때 당시에는 IT버블도 껴있었던 데다가 애플에서 스마트폰이라는 혁신제품을 선보이던 때라 마이크로소프트 주가가 거의 10년 정도 횡보를 했었다가 사티아 나델라가 CEO를 맡으면서 상당한 수준의 우상향을 그려냈습니다.AI에 가장 활발하게 투자 중,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AI기업 OPEN.AI의 지분 49%를 보유  사실상 거의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 같..

참고자료 2024.09.19

코스트코를 투자하는 이유

워런 버핏과 함께 버크셔 해서웨이를 운영하며 버크셔의 시스템을 만든 찰리 멍거입니다. 찰리 멍거님 께서 평생토록 보유한 종목이 3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버크셔 해서웨이, 또 하나는 리 루라는 분이 운용하시는 중국 펀드, 그리고 또 하나가 바로 코스트코 입니다.  코스트코가 참 재밌는 기업인게 보통 주주환원이라고 한다면 자사주매입 소각이나 배당금 인상을 주로 말 하는데 코스트코는 제가 딱히 자사주매입소각을 했다는 이야기를 듣지는 못 했는데 종종 특별배당을 한다는 이야기는 듣습니다. 24년 09월 18일 현재 주가는 897.95 달러고 1주당 분기배당금은 1.16 달러 입니다. 그런데 종종 특별배당으로 20년 12월 에는 1주당 10달러의 특별 배당을 했고 24년 1월 에는 1주당 15달러의 특별배당을 했습니..

참고자료 2024.09.18

요즘 월배당 ETF가 정말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요즘 월배당ETF가 정말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이라고 한다면 커버드콜(프리미엄)같은 자기살을 깎아서 배당을 주는 비교적 위험한 ETF도 여럿 출시하고 있다는 거지만요 ㄷㄷ 저는 배당금이 어디서 나오는지 그 출처도 알아야, 자신이 어디에 투자를 하는지 알아야 투자활동을 꾸준히 할 수 있고 부를 쌓을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래야 오랫동안 믿음을 갖고 투자를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 프리미엄이라던가 커버드콜 같은 위험상품에 투자하는 월배당ETF가 아닌 건강한 월배당 ETF가 무었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보통 대부분의 월배당ETF는 월말에 결산을 하고 실제 지급은 그 다음달 초에 지급을 하는데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매월 중순에 결산하고 지급..

참고자료 2024.09.16

에셋플러스에서 AI기반 공모펀드가 출시되었습니다.

에셋플러스에서 AI를 기반으로 공모펀드를 출시했습니다. 수수료는 펀드매니저들이 운용하는 펀드에 비해 낮게 매겨져있습니다.(우리투자펀드 기준 0.72%)   AI기반의 펀드는 펀드매니저의 이탈을 걱정 할 필요가 없고 펀드가 많아질수록 펀드매니저의 정성이 다양한 펀드에 분산이 될 수 밖에 없지만 AI는 그럴 정성이 분산될 걱정이 없습니다. 게다가 AI는 기본적으로 사람보다 운용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수수료도 낮게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펀드가 나와줬으면 좋겠는데 또 S&P500에 맞춰진 펀드네요 ㅎㅎ 출시한지 이제 일주일된 펀드라서 아직 제대로된 정보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최근에 핫한 AI기술로 만들어진 펀드라니까 좀 관심이 생네요. 그런데 그동안 읽어온 주식투자관련책을 생각해..

참고자료 2024.09.15

글로벌리얼티인컴 ETF가 나왔습니다.

출시된지 일주일쯤 된 ETF인데 월배당을 진행합니다. 요즘 투자자들의 성향이 월배당을 선호해서 그 수요에 맞춰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ㅎㅎ (이런거 너무 좋아요 ㅋㅋ) 구성종목으로는 우리나라의 맥쿼리인프라 라는 리츠주식이 편입되어 있는데 좀 독특하죠? 그다음으로는 리얼티인컴으로 원래부터 월배당 리츠주식으로 제법 유명한 종목입니다 ㅎㅎ 수수료는 0.1%로 나름 괜찮은 편입니다. 시가배당률이 얼마인지는 아직 배당금을 지급하지도 않았고 좀 의미있는 데이터를 뽑아내려면 1년 정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희망으로는 현재 리얼티 인컴 시가배당률과 비슷하게 5% 조금 더 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리츠들을 모아놓은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 라는 ETF가 있는데 그건 우리나라 리츠에만 ..

참고자료 2024.03.02

버크셔포트폴리오 TOP10 ETF가 출시했습니다.

구성종목은 1위가 버크셔해서웨이고 비중은 약 27% 정도 됩니다. 비중 2위는 애플이고 비중이 약 24% 정도 입니다. ETF의 이름이 버크셔포트폴리오인데 버크셔해서웨이랑 애플이랑 같이 있는 이유는 ETF를 만들 때 정책상의 이유로 반드시 10개 이상의 종목을 구성해야 해서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ㅎㅎ 그런데 이 ETF의 수수료가 홈페이지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0.35% 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투자를 할 바에는 그냥 버크셔에 직접투자를 하는게 더 낫지 않나 싶네요.

참고자료 2024.03.02

SOL,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도 수수료가 0.01%가 됐습니다 ㅋㅋ

제가 평소에 심심하면 제가 투자중인 ETF들의 최근성과나 수수료가 얼마나 되고 배당금은 얼마나 줬는지 알아보려고 홈페이지를 종종 들어가보는데 미국배당다우존스ETF의 수수료가 더 낮아졌더군요 ㅋㅋ 이전에는 ACE미국배당다우존스만 수수료가 0.01%의 파격적인 수수료였는데 이제 출혈경쟁을 위해 SOL과 TIGER에서도 수수료를 0.01%로 낮춰버렸군요 ㅎㅎ 원래 계획은 SOL, ACE 미국배당다우존스를 각각 1만주 씩 투자하자 라고 생각을 했는데 거기서 이제 TIGER도 포함해서 각 1만주씩 총 3만주를 투자해야겠네요 ㅎㅎ 사실 셋 다 똑같은 지수를 추종하는거라 이런식으로 분산하는게 그다지 의미는 없지만 혹시라도 어느 한쪽의 운용사가 잘 못 되도 다른 운용사가 있고 또 뭔가 마음의 풍요로워지는 듯한 느낌이 ..

참고자료 2023.08.06
728x90
반응형